본문 바로가기
이야기 하나

기타 보직으로 부대에 따라서 분류를 했습니다.

http://user.chollian.net/~sb100co/gundae3.htm

기타 보직으로 부대에 따라서 분류를 했습니다.

1.수색대
수색대의 80%이상이 착출입니다. 수색대 행보관님이 오셔서
병력기록이나 병사를 직접보고서 착출해 가지요
보통 신체건장한 1등급 판정을 받은 병사로
절대로 안경을 쓰면 안되고 머 대충 그런 사람들이 갑니다


2. 특공
특공 또한 착출인데 수색하고는 착출 방식이 조금 다릅니다
보충대에서 훈련소로 갈때 미리 자기가 어느 사단으로 갈지
뺑뺑이를 돌려서 결정되는데.. 거기서 뺑뺑이를 돌려서
착출되게 됩니다.. 뺑뺑인데 왜 착출이냐..??
키 170이상 몸무게 65이상 안경안쓴 신체등급 1등급만
따로 모아놓고 뺑뺑이를 놀리니 착출이라 해야겠죠
사단훈련소에선 똑같이 훈련을 받고 신교대 수료후에
특공에 가서 다시 교육을 받습니다
진정한 특공인으로 거듭나기 위해서ㅡㅡㆀ

그 유명한 703특공이 우리 관할이라서
특공연대 본부에 종종 놀러(?)가곤 했는데
가보면 병사들이 일과시간 이후에 간단한 옷차림으로
서로 다리를 찢어주면서 놀더군요. ㅡㅡㆀ
역시 특공이라 노는것도 달랐습니다.


3. 헌병대
헌병대는 시험을 봐서 가는 경우도 있고 착출될 경우도 있는데
특공보다도 헌병대가 신체조건을 더 따집니다.
일단 키 180이상 왕떡대 ㅡㅡㆀ
헌병은 군내의 경찰입니다.
군이란 계급을 중시 여기는 집단이라서 자기가 잘못하고도
계급으로 이를 무마시키려는 경향이 있어요.
헌병이 사병의 잘못을 지적했을시 헌병의 계급이 자기보다 낮으면
무시하게 되죠.. 구래서 헌병은 일딴 덩치로 위압감을 주기 위해서
키도 크고 떡벌어진 어깨, 부리부리한눈..
솔직히 그리 고생스럽진 안은 보직인거 같은데...
나름대로의 애환이 있겠죠.


4. 신병교육대
군인들이 젤 싫어하는 병사가 3부류가 있다면
1.유격조교, 2.헌병, 3.신교대조교가 아닐까 싶습니다.
신교대 조교 또한 100% 착출입니다.
신교대 교육중과정에서 조교들이 미리 찍어두었다가
퇴소쯤해서 슬슬 꼬시죠. 조교하라고..
꼬임에 넘어가면 조교가 됩니다.
조교의 자격요건은 안경 안쓰고 키 175이상의 신체등급 1등급으로
전문대 이상의 학력을 소지해야만 합니다. ㅡㅡㆀ 까다롭져.

솔직히 조교 디빵 힘들어요.
매일 훈련병 굴리고 갈구고 하니깐 재밌을 법도 싶지만...
군인같지 않은 넘들 군바리 맹글라니... 에혀~
그들은 나름대로의 자부심과 사명감에 불타오르죠.
신교대서 교육을 잘못받으면 자대에서 사고가 많기 때문에..

조교들.. 낮에는 훈련병 가르치고
밤에는 교범 공부하고 외각 경계근무서고...
전 신교대에서 조교들을 보면서 저 사람들은 잠은 언제자나 싶더군요
늘 훈련병보다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고
하는건 훈련병하고 거의 같이 하자나요..
그 힘들다는 행군도 매번 해야하고~
그러면서도 훈련병들한테 뒤에서 맨날 씹히고...
그들은 정말 사명감과 자부심이 아니면 다 탈영할거에요.


5.공병대
참으로 고생이 많은 보직입니다.
건설업체로 보시면 타당할 것 같습니다.
완벽한 노가다 부대지요
대민지원일도 많이 합니다.
공병대 내의 보직들을 보면,
포크레인 운전병, 불도져운전병등 다양합니다.
완전 건설산업의 역군들이지요.
공병대는 토목과, 건축과등에서 많이 갑니다


6.경차대
차량을 담당하는 보직입니다.
버스에서 승용차 운전까지, 견인차도 있습니다.
운수회사나 다름없지요
정비공장도 운영합니다^^
모든 차량을 수리하고, 점검하는 일을 열심히 합니다.
역시 고생이 만만찮은 보직이지요.


7.정비대
정비대에선 말그대로 모든 것을 다 고칩니다
전화기에서부터 커다란 화포/전차가지
정비대에 가져가면 뭐든 다 고쳐줍니다
정 못고칠거 같은 경우는 반납하고 새것으로 바꿔주죠.


8.보급대
군에 보급되는 전 품목을 관리합니다
군인들이 매일 먹는 식량부터 전투물자까지
대형 벙커형 창고에 쌓아있죠.
흠.. 영화에 나오는 비행기 경납고 있잖아요
그런 창고에 품목별로 나눠서 대량으로 쌓여있답니다.
대형 할인마트를 연상하시면 이해가 빠를 듯..
여기 있는 병사들은 그런 창고를 맞아서 관리합니다
예하대대 배급 / 관리 등을 하는 거죠


9.군지사(군수지원사령부)
정비대, 경차대, 보급대등이 이 군지사에 속하고
군지사에선 그곳들을 총괄 관리하는 곳입니다
정비대나 보급대에선 몸으로 뛰는 영업파트라면
군지사는 행정파트 머 그런겁니다


10.화학대
화학물자 관리 / 제독등 기타 화학에 관련된 일만 전문으로 하는 곳이죠.
한번도 안가봐서 잘은 몰겠지만...
유격장에 화생방 교육은 유격조교가 아니라
이 화학대 애들이 나와서 하는겁니다.
아마도 얘내들은 그런 호학훈련을 주로 하지 않을까..
화학장비 관리 및 예하대대 출장교육(?)등을 많이 하는.것 같네요
제가 있던 부대에는 "화학지원관"이란 간부가 있었는데
그 간부가 하는.일이 그러했었거든요. ㅡㅡㆀ


11.탄약대
탄약에 관해서 총괄하는 곳입니다
훈련중, 공사중 폭발물을 발견시 발견자는 이를 소대장에게 보고하고
소대장은 대대에 보고하고 대대는 상급부대 작전처에 보고하고
작전처에서는 탄약대에 신고하면 탄약대에서 출동해서
폭발물을 수거하죠...
주 업무는 탄약, 폭약등 폭발물 관리는 분출이지만
위와같이 폭발물 수거도 탄약대에서 합니다..!!


12.기갑
기갑부대는 말 그대로 장갑차나 탱크가 있는 부대입니다.
전쟁영화보면 보병과 탱크가 맨날 같이 다니니깐
탱크도 보병인갑다 생각하시겠지만 그렇지 않답니다.
보병과 기갑은 별개이고 기갑은 보병을 지원하는게 주 임무에요.
기갑부대도 기갑학교에서 후반기 교육을 받고 자대로 갑니다.


13.육군항공
언젠가 한번 말씀드린 적이 있는 육군항공
육군이지만 날라다니는 일이 주 임무인 부대죠.
주로 병력이나 물자 수송이 주 임무이지만
코브라나, 아파치같은 전투용 헬기도 있어요.
전쟁영화에 나오는 환자나 병력 수송하는 헬기 있죠.
그 헬기가 바로 육군항공 소속입낟.
물론 헬기는 간부가 몰고 그럼 병가사 하는 일은..??
행정적인 일이죠 머 ^^;;


14.공파대(공군파견대)
공파대는 공군에 속하지만 육군과 함께 생활합니다.
물론 공파대의 병사들도 공군이죠.
그러니 군생활도 26개월이 아닌 30개월 합니다.
군단급 이상의 부대에 공파대가 있고요.
그들은 공군과 육군을 연결해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해줍니다
해군이야 바다에서 싸우니 별개라 치지만
공군도 어떻게 보면 보병을 화력지원해 주는 거니깐...


15.기무대
저같이 군생활에 80%이상을 비문과 함께 생활한 사람이라면
치를 떨고 이를 가는 기무대...
사회로 치자면 안기부네요..
기무대는 육군소속이 아니라 국방부 소속이랍니다.
육,해,공을 막론하고 기부대가 있죠. ㅡㅡㆀ
그들의 주 임무는 보안위반 적발, 간첩색출 이런 것들이죠.


이제 거의 끝난거 같네요..
물론 이밖에도 수백개의 보직이 있지만
그런 보직을 제가 다 알리도 없을 뿐더러 희귀한 보직이므로
여기서는 언급을 하지 않을께요.

자 이제 여러 고무신님들의 보직에 관한 궁금증은 70%은 풀리지 않았나 싶네요.




by 꿈의자유(paino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