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로 종량제로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그만큼의 이익이 돌아갈지는 의문입니다..
제 생각에는 가격은 꽤나 오르면서 인터넷 폐인들은 많이 줄어 드는 건 대충확실한 방향이 될듯 하네요..
하지만 정말로 인터넷 사용비율이 적은 사람들에게 그만큼의 이익이 돌아가게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정부가 초고속인터넷 요금으로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내는 종량제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윤창번 하나로통신 사장은 22일 진대제 정통부 장관과의 간담회에서 "EBS 인터넷 수능 강의가 시작되면 인터넷 트래픽이 증가해 초고속인터넷 업체들의 투자 부담이 있다"며 "초고속인터넷에 사용한 요금만큼 돈을 내는 종량제가 필요하다"고 요청했습니다.
현재는 KT나 하나로통신 등 초고속인터넷 업체들은 사용량에 관계없이 월 3만원에서 5만원의 정액요금으로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정통부 김동수 정보통신진흥국장은 22일 "업체들의 공식적인 건의가 있으면 공청회 등을 거쳐 검토해보겠다"고 말했습니다.
김 국장은 "종량제 시행을 위해서는 각 개별 가입자에 대한 인증제, 빌링시스템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도입한다고 해도 1년 이상이 걸릴 것이다"고 덧붙였습니다.
정통부는 일정 사용량까지는 정액제로 사용하고 추가되는 부분은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더 내는 부분정액제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한편 KT등 초고속인터넷 업체들은 가입자가 1천만을 넘는 등 시장이 포화되면서 매출 성장을 위해 지난해말부터 종량제 도입을 요구해왔습니다.
박성태기자 stpark@wowtv.co.kr
-------------------------------------
[edaily 박호식기자] 김동수 정통부 정보통신진흥국장은 22일 "초고속인터넷 요금 관련 종량제 도입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국장은 이날 통신사업자 CEO간담회 결과를 브리핑하는 자리에서 "오늘 간담회에서 종량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얘기가 있었다"며 "이에 따라 종량제 도입을 검토해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현재는 정액제가 적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날 간담회에서는 위성DMB가 KTF(032390)나 LG텔레콤 등 후발사업자도 윈윈할 수 있도록 정책적 조율이 필요하다는 건의가 있었으며 하나로통신(033630)은 유선 번호이동성제 활성화를 건의했다. 또 중소기업 지원방안에 대해서는 따로 논의키로 했다.
이밖에도 김 국장은 "WCDMA활성에 관련 장비업체의 수출이 열리고 있다"며 "장비 및 통신사업자정책담당자가 모여서 별도로 협의키로 돼 있어서 간담회에서는 별다른 논의가 없었다"고 전했다.
Copyrightⓒ 2000-2004 edaily. All rights reserved.
박호식 기자 (hspark@edaily.co.kr)
-----------------------------------------
초고속인터넷 요금제를 정액제에서 종량제로 바꾸는 전단계인 부분 정액제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했다.
KT·하나로통신 등 초고속인터넷서비스업체들은 최근 정보통신부와 가진 기간통신사업자 회의에서 정부가 사교육 방지를 위해 EBS를 통해 수능시험 대비용 인터넷 강의를 내달부터 실시하기로 함에 따라 트래픽 폭증에 따른 대책 마련과 부분 정액제 도입을 요청했다.
KT측은 이 자리에서 “수능 인터넷 강의가 제대로 되려면 10∼15만명이 동시접속할 수 있는 서버 뿐만 아니라 이를 지원하는 초고속인터넷 인프라가 필수적”이라면서 “초고속망은 VDSL을 순차적으로 보급한다고 하더라도 트래픽 폭주에 따른 장비 증설 등을 고려한다면 요금제에 대한 고려도 해줘야한다”고 밝혔다.
하나로통신 관계자는 “인터넷 수능강의는 실시간 또는 저장된 동영상을 처리해야하는 것인 데다 동시 접속자가 많은 만큼 시스템 과부하를 대비한 준비가 필요하다”면서 “추가 투자 등을 고려한다면 이번 기회에 요금제 손질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초고속인터넷사업자들이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차등화할 수 있는 부분정액제를 검토해왔으나 공동으로 요금제 개편을 요청하는 공식 목소리를 내긴 이번이 처음이다.
KT와 하나로통신은 이를 위해 내부적으로는 부분정액제를 위한 과금시스템 개발을 본격화하는 한편, 가입자들을 구분할 수 있는 신인증시스템을 조기에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신인증시스템은 별도의 고객 인증절차가 없는 IP망 기반 인터넷 서비스에 새로운 인증제도를 도입, 고객을 구분해 맞춤형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요금제도도 차별화할 수 있다.
KT는 당초 VDSL, 엔토피아, 네스팟 등 약 210만 가입자에 3분기까지 신인증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으로 벤치마크테스트(BMT) 등을 실시했으나 이를 상반기 중으로 당기는 방안을 놓고 장비업체들과 협의중이다. 하나로통신 역시, 시스템 도입을 앞당기기로 했다.
업체 한 관계자는 “초고속인터넷을 근간으로 e정부, e러닝 등이 본격화하고 있으나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개발하고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요금제를 현실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지연기자 jyjung@etnews.co.kr>
-----------------------------------------------------------------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초고속 인터넷 요금 종량제 도입 문제와 관련, “요금이 크게 오르지 않는다”는 전제아래 네티즌 2명 중 1명꼴로 이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신문사와 온라인 리서치 전문업체 엠브레인(대표 최인수 http://www.embrain.com)이 지난 3일부터 7일까지 5일 동안 전국 13세 이상 59세 이하 인터넷 이용자 2000명(남녀 각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넷 요금 종량제에 대한 의식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46.0%가 종량제로의 과금방식 전환에 대해 ‘조건부 찬성(실질적 요금 인상분이 납득할 만한 수준일 경우)’한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종량제 도입을 ‘반대’한다는 의견도 절반에 가까운 43.3%에 달했다.
또 종량제가 시행될 경우 응답자의 72.5%가 사용시간을 줄이겠다고 답했으며 PC방 또는 모뎀을 이용하겠다거나 아예 인터넷 이용을 중단하겠다는 등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겠다는 답도 15.6%에 달했다.
이에 비해 종전과 같은 수준으로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겠다는 의견은 10.2%에 불과했다.
네티즌들은 종량제가 시행될 경우 가장 우려되는 점으로 ‘소득계층간 정보격차 확대(32.4%)’를 꼽았으며 이밖에 ‘이용자 감소로 사업자 매출 감소(22.0%)’ ‘PC방 등 관련업계 고사(18.6%)’ ‘이용률 하락으로 국가 경쟁력 약화(18.0%)’ 등 사회전반에 역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우려했다. 반면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9.1%에 머물렀다.
특히 상당수의 네티즌들은 초고속 인터넷 사업자의 종량제 도입 추진 의도가 ‘손실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것(62.8%)’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비해 ‘합리적인 요금체계 마련을 위한 것(16.7%)’ 또는 스팸 등의 ‘불필요한 트래픽을 막기 위한 것(4.9%)’ 등 의도를 긍정적으로 보는 네티즌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 초고속 인터넷 업계의 불황 원인에 대해서는 ‘업자간의 과열경쟁(67.3%)’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으며 이밖에 ‘방만한 경영(19.1%)’ ‘VDSL 등에 대한 과도한 투자(10.9%)’ 등을 원인으로 들었다.
한편 네티즌들은 현재의 정액제 요금에 대해서도 65.7%는 비싸다고 보고 있으며 적당하거나 저렴한 수준으로 보는 네티즌은 34.4%였다.
<황도연기자 dyhwang@etnews.co.kr>